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기업의 ESG 경영 도입을 지원하고, 공급망 ESG 평가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K-ESG 가이드라인”을 2021년부터 발표하고 있으며, 2025년 개정판은 기업의 실제 ESG 공시 수요와 국제 기준(IFRS, TCFD 등)을 반영해 더욱 정교해졌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최신 K-ESG 가이드라인의 구조와 항목별 설명, 실무 적용 방법 및 자가진단 대응 전략까지 종합적으로 안내합니다.
1. K-ESG 가이드라인이란?
- 산업부가 제정한 자율형 ESG 공시 가이드라인
- 2025년 기준 63개 항목으로 구성 (기본형 + 확장형)
- 국제 기준(GRI, TCFD, SASB 등)과 연계성 강화
- 대기업은 공급망 평가 기준으로, 중견·중소기업은 ESG 입문용으로 활용
공식 사이트: https://k-esg.org
2. K-ESG 구성 체계 (2025 개정판 기준)
구분 | 세부 항목 수 | 핵심 내용 |
---|---|---|
환경(E) | 25개 | 탄소배출, 에너지, 수자원, 폐기물, 친환경 인증 등 |
사회(S) | 23개 | 인권, 안전보건, 다양성, 윤리경영, 지역사회 등 |
지배구조(G) | 15개 | 이사회 구조, 내부통제, 감사기능, 정보공시 등 |
총 63개 항목 중, 필수지표와 선택지표로 구분되며, 기업 규모별 권장범위가 제시됩니다.
3. 2025년 개정 주요 변경점
- ① Scope 3 배출량 공시 권장 추가
- ② TCFD 기반 기후리스크 공시 요구 반영
- ③ 공급망 ESG 평가 항목 세분화
- ④ AI 윤리, 정보보호 지표 신설
- ⑤ ESG 리더십 및 이사회 역할 강조
Tip: GRI/ISSB 기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고도화 중이므로, 국제보고서와 연계 작성이 용이합니다.
4. 자가진단표 기반 ESG 대응 전략
K-ESG는 기업이 스스로 ESG 현황을 진단할 수 있도록 자가진단표(0~5점 척도)
를 제공합니다.
① 진단 구성
- 각 항목별로 정책 수립 여부, 실행 여부, 성과 측정 여부 평가
- 예: “에너지 관리체계 구축 여부 → 0점(없음) ~ 5점(성과관리까지 완료)”
② 활용 방법
- 연 1회 이상 자가진단 실시 후, ESG 보고서에 반영
- 공급망 평가 요청 시 해당 항목을 기준 삼아 대응 자료 제공
③ 평가 기준
- 정책 수립 → 실행 여부 → 성과관리 → 외부 검증 유무 순으로 점수 향상
5. 보고서 작성 시 적용 팁
① ESG 보고서 구조화
- 목차를 K-ESG 항목 기준으로 구성
- 63개 항목 중 기업 특성에 맞는 항목 중심 정리
② 중소기업 적용 전략
- 기본형(28개 항목)부터 우선 대응
- 핵심 항목: 에너지관리, 안전보건, 윤리경영, 이사회 구조 등
③ 국제 기준과 연계
- GRI, TCFD, ISSB 기준과 병행 작성하면 공급망 대응 및 IR 연계 용이
6. 실제 기업 대응 사례
- LG유플러스: K-ESG 진단 기준 기반 보고서 작성 + TCFD 연계
- 한화시스템: 항목별 5점 기준으로 자가진단 후 외부 공시 병행
- 한국무역보험공사: K-ESG 기반 평가 점수 공시 → 공급망 ESG 점검 기준화
결론: K-ESG는 국내 ESG 대응의 '출발점'이자 '전략 도구'입니다
2025년 개정 K-ESG 가이드라인은 단순한 체크리스트가 아니라, 공급망 대응, 공공기관 공시, 투자자 커뮤니케이션까지 아우르는 국내 ESG 실무의 기준 언어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중소·중견기업에게는 ESG 경영 입문을 위한 현실적 기준으로 작동하며,
대기업에는 공급망 평가 기준 제공, 공시 체계 연계 등 전사 ESG 전략 수립의 디딤돌이 됩니다.
국제 기준(GRI, TCFD, ISSB 등)과 호환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지속가능경영보고서·IR자료·CDP응답서 등 다양한 ESG 공시 문서에도 유연하게 연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기 진단표 기반 점수화 구조를 갖추고 있어 기업은 ▲정책 수립 여부 ▲실행 단계 ▲성과 도출 ▲외부 검증 여부까지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기준은 결국 국내 실행으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K-ESG는 그 연결 고리를 제공하는 실용적 ESG 전략 도구입니다.” 지금, 자가진단으로 우리 기업의 ESG 시작점을 점검하세요.
'ESG 경영 실무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 공시 통합 시대, 기업이 반드시 갖춰야 할 내부 시스템 5가지 (0) | 2025.07.30 |
---|---|
ESG 보고서 외부 검증(Assurance)의 중요성과 준비 방법 (0) | 2025.07.29 |
IFRS S2 공시 기준 완전 해설: 기후공시 통합 시대의 대응 전략 (0) | 2025.07.29 |
기업의 TCFD 보고서 작성법: 시나리오 기반 리스크 공시 가이드 (0) | 2025.07.28 |
CDP 설문 대응 가이드: 2025년 최신 항목별 해설 (0) | 2025.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