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60 ESG 공시 실패 사례로 배우는 실무 리스크와 대응법 전 세계적으로 ESG 공시가 의무화 또는 반강제화되는 가운데, 기업의 공시 실패는 단순한 실수 이상의 법적·재무적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2025년 현재,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의 IFRS S1·S2, EU의 CSRD, 미국의 SEC 기후공시 안 등 다양한 규제에 맞지 않는 보고는 시장 신뢰도 하락, 투자 철회, 브랜드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실제 발생한 ESG 공시 실패 사례를 중심으로 실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리스크와 대응 전략을 정리합니다. 1. ESG 공시 실패가 초래한 실제 사례① 사례 1: 글로벌 전자기업 A사 – CDP 미응답 → 바이어 이탈2023년 CDP 설문 미응답 → 주요 바이어인 유럽 대형 유통사 공급망 제외 통보Scope 3 배출량 미공시가 “정.. 2025. 7. 24. ESG 공시 대응 로드맵: 중소기업부터 대기업까지 실무 가이드 2025년 현재, ESG 공시는 전 세계적으로 법적 의무와 투자 기준으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대한민국도 2026년부터 K-IFRS 기반 ESG 공시(ISSB 기준)를 단계적 도입할 예정이며, EU의 CSRD, 미국의 SEC 기후 공시 안 등 해외 규제 또한 한국 기업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하지만 기업마다 규모와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ESG 공시에 대한 접근도 달라야 합니다.이 글에서는 기업 규모별로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한 ESG 공시 대응 전략을 로드맵 형식으로 정리합니다. 1. ESG 공시, 왜 준비해야 하나?2025년부터 ISSB 기준(IFRS S1·S2) 전 세계 공시 의무화 시작EU CSRD는 매출 4천만 유로 이상 한국 기업도 대상글로벌 투자기관·바이어의 ESG 평가 요구 증.. 2025. 7. 24. TCFD vs ISSB vs CSRD 비교: ESG 공시 기준 총정리 2025년 현재, ESG 공시는 단순한 선택이 아닌 글로벌 자본시장 진입의 필수 요건이 되었습니다.그 중심에는 TCFD, ISSB(IFRS S1·S2), CSRD라는 3가지 글로벌 공시 기준이 존재하며, 각 기준은 목적과 구조, 적용 대상이 다릅니다.이 글에서는 ESG 실무자와 기업이 꼭 알아야 할 ESG 공시 기준 3종의 핵심 비교표와 해설을 제공합니다. 1. 주요 ESG 공시 기준 개요① TCFD (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2017년 G20·FSB 주도로 출범한 기후 관련 공시 권고안기후 리스크·기회 중심, 4대 공시 항목 제시현재 ISSB 기준(IFRS S2)에 통합됨② ISSB (International Sustainability.. 2025. 7. 23. ISSB 공시 기준이란? IFRS S1·S2 완전 해설 전 세계 ESG 공시의 기준이 하나의 국제표준(IFRS 기반)으로 통합되고 있습니다.이 기준을 제정한 기관이 바로 ISSB(International Sustainability Standards Board)이며, 그 핵심 기준이 IFRS S1(지속가능성 공시 기준)과 IFRS S2(기후 관련 공시 기준)입니다.이 글에서는 ISSB의 역할과 IFRS S1·S2의 구조 및 기업이 실무에 적용하기 위한 전략을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1. ISSB란 무엇인가?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는 2021년 IFRS 재단(IFRS Foundation)이 설립한 지속가능성 공시 국제 표준 제정 기구입니다.설립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ESG 공시 기준이 TCFD, SASB, GRI 등으로 분산 → 투자자 혼란기후위기 .. 2025. 7. 23. CDP란? 기업 탄소·환경 공시의 글로벌 기준 탄소중립 시대, 전 세계 투자자와 이해관계자들은 기업의 기후 대응 성과와 리스크 정보를 투명하게 요구하고 있습니다.이 가운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글로벌 환경 정보 공개 플랫폼이 바로 CDP(Carbon Disclosure Project)입니다.CDP는 단순한 설문조사가 아닌, 글로벌 ESG 평가와 투자 결정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공시 시스템입니다.이 글에서는 CDP의 정의, 공시 영역, 평가 방식, 기업에 주는 영향과 참여 전략을 자세히 설명합니다. 1. CDP란 무엇인가?CDP(Carbon Disclosure Project)는 전 세계 기업과 도시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물, 산림자원 등 환경 관련 정보 공개를 요청하고 이를 기반으로 평가하는 국제 비영리 기구입니다.2000년 영국 런던에서 설립되어, 2.. 2025. 7. 23. SBTi란? 과학 기반 탄소감축 목표 설정 가이드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탄소감축 목표가 ‘과학적 기준’에 기반해야 한다는 요구가 강해지고 있습니다.이때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준이 바로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입니다. SBTi는 기업이 기후과학에 기반한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검증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글로벌 이니셔티브입니다.이 글에서는 SBTi의 정의, 적용 대상, 감축 기준, 그리고 기업이 인증을 받기 위한 절차와 전략을 소개합니다. 1. SBTi란 무엇인가?SBTi는 탄소 감축 목표가 IPCC 과학적 시나리오(1.5℃ 경로)에 부합하도록 가이드하는 국제 검증 시스템입니다.유엔 글로벌콤팩트(UNGC), CDP, 세계자원연구소(WRI), WWF가 공동 운영하며, 전 세계 7,000개 이상 기업이 참여하.. 2025. 7. 22.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