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G 경영 실무 가이드

기업의 TCFD 보고서 작성법: 시나리오 기반 리스크 공시 가이드

by sisualtman 2025. 7. 28.

2025년부터 IFRS S2(국제지속가능성 공시 기준)가 본격 도입됨에 따라, 기업은 TCFD 프레임워크 기반의 기후 리스크 보고를 요구받고 있습니다.

TCFD는 기후 변화가 기업의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전략, 리스크, 지배구조, 지표 등을 공시하는 국제 표준 프레임워크입니다.

이 글에서는 TCFD의 구성 요소, 작성 절차, 시나리오 기반 분석 방법을 2025년 기준으로 실무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1. TCFD란 무엇인가?

  • 2015년 G20 산하 금융안정위원회(FSB)가 설립
  •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
  • 2025년 현재, IFRS S2 공시 기준과 완전히 통합됨

CDP, SBTi, ISSB 기준도 TCFD 프레임워크를 따르므로, ESG 공시의 기초이자 핵심으로 간주됩니다.

 

2. TCFD 4대 공시 항목 구조

영역 설명
① 지배구조(Governance) 이사회, 경영진의 기후리스크 감독 및 관리 역할
② 전략(Strategy) 기후가 비즈니스 전략, 재무계획, 운영에 미치는 영향
③ 리스크 관리(Risk Management) 기후 리스크 식별, 평가, 대응 프로세스
④ 지표 및 목표(Metrics & Targets) Scope 1~3 배출량, 감축 목표, 에너지 사용량 등

 

3. 시나리오 기반 분석이란?

시나리오 기반 분석(Scenario Analysis)은 불확실한 기후 미래를 가정하고, 물리적 리스크(홍수, 폭염 등)와 전환 리스크(탄소세, 정책 변화 등)가 기업의 사업, 재무,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정성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예시 시나리오:

  • 1.5℃/2℃ 상승 시나리오 (IEA, NGFS 등 기반)
  • 탄소세 100$/톤 도입 가정 → 수익성 영향 분석
  • 기후 재해 발생 시 자산손실/생산 차질 시뮬레이션

Tip: 2개 이상의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리스크 대비 전략을 제시해야 신뢰도 상승

 

4. TCFD 보고서 작성 절차

① 현황 진단

  • 기후 관련 정책, 활동, 데이터 현황 조사
  • Scope 1, 2, 3 배출량 산정 여부 확인

② 4대 공시 항목별 틀 구성

  • 지배구조 → ESG 위원회 운영 여부, 보고 체계
  • 전략 → 주요 제품·서비스별 기후 영향 분석
  • 리스크 관리 → ESG 리스크 통합 여부
  • 지표·목표 → 감축 계획, KPI, 단기/중기 목표

③ 시나리오 분석 적용

  • 온도상승 시나리오에 따른 재무 영향 예측
  • 탄소세, 정책 변화 시 EBIT/ROIC 등 영향 산정

④ 외부 공시용 문서화

  • ESG 보고서, CDP 설문,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연계

 

기업의 TCFD 보고서 작성법: 시나리오 기반 리스크 공시 가이드

 

5. 작성 시 유의사항

  • TCFD는 “보고의 정량성”과 “미래 위험 대비성”이 핵심
  • “기후리스크 없음”으로 표기하면 오히려 낮은 평가 가능성
  • 정량적 수치 없이 선언만 있는 전략은 신뢰도 저하
  • 이사회 승인 여부와 외부 검증 여부도 등급 평가에 중요

 

6. 국내외 기업 사례 (2025 기준)

  • LG화학: 기후 시나리오 기반 리스크 분석 → 사업모델 전환 전략 공개
  • POSCO: 탄소세 시나리오 도입 → 철강 단가 영향 분석
  • 현대모비스: 기후재해 발생 시 부품공급 중단 위험도 분석

 

결론: TCFD는 단순 공시가 아닌 “기후전략 보고서”입니다

기후 변화는 더 이상 미래의 리스크가 아닌, 현재 기업 재무와 가치사슬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실질적 위협입니다. 그에 따라, 기업은 이제 단순히 기후 영향을 '받는 존재'가 아닌, 기후 시나리오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전략을 수립해야 하는 주체가 되어야 합니다.

TCFD는 바로 이러한 대응 전략을 구조적으로 공개하고, 투자자와 시장에 신뢰를 증명할 수 있는 유일한 국제 기준입니다. 단순한 정보 보고를 넘어서, 기업의 기후 대응 시나리오, 재무 리스크 분석, 감축 목표와 실행 계획을 통합적으로 공개함으로써, CDP·IFRS S2·SBTi 등 글로벌 공시 연계 대응의 핵심 프레임워크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기업은 지금부터 다음과 같은 실무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 ① 기후 시나리오에 따른 사업 및 재무 영향 정량화
  • ② 감축 목표 및 KPI 수립 → 투자자 설명 가능하게 설계
  • ③ TCFD 기반 공시와 CDP, ESG 보고서 간 일관성 확보
  • ④ 이사회 승인 + 외부 검증 체계로 공시 신뢰성 강화

“기후 위기 대응의 시작은, 숫자와 시나리오로 말하는 전략입니다.” 지금, TCFD 기반 보고서를 작성해 ESG의 신뢰와 리더십을 구축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