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0

CDP 서플라이 체인(Supply Chain) 설문 대응법 완전 가이드 CDP(Carbon Disclosure Project)는 전 세계 주요 기업과 투자자들이 기업의 기후변화 대응, 탄소배출량, 물 리스크 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장 권위 있는 ESG 평가 플랫폼 중 하나입니다.특히 CDP Supply Chain Program은 삼성전자, 애플, 유니레버 등 글로벌 바이어들이 자사 공급망 협력업체에게 설문을 발송하여 ESG 위험도를 평가하고 협력 지속 여부를 판단하는 핵심 도구입니다.이 글에서는 2025년 CDP 서플라이 체인 설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실제 항목 구성, 중소기업 대응 전략, 실무 작성 팁을 정리합니다. 1. CDP 서플라이 체인이란?글로벌 기업이 협력사에게 기후, 물, 산림 이슈에 대한 ESG 설문 발송공식 이메일 초대 후 온라인 포털(ORSA.. 2025. 7. 31.
공급망 ESG 평가 대응 전략: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실무 가이드 2025년 현재, 글로벌 대기업과 해외 바이어들은 자사 공급망에 속한 협력업체들에게도 ESG 정보 공개와 대응 전략을 요구하고 있습니다.특히 EcoVadis, Sedex, CDP, K-ESG 자가진단과 같은 공급망 ESG 평가 플랫폼은 중소·중견기업에게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대응 여부에 따라 입찰 탈락, 납품 배제, 가산점 차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협력업체 입장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ESG 대응 전략을 실무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1. 왜 공급망 ESG가 중요한가?EU CSRD(지속가능성 공시지침): 공급망 전체 ESG 공시 의무화CDP Supply Chain Program: 대기업의 협력사 기후 데이터 수집EcoVadis 평가: 삼성전자, 현대차, LG 등도 협력사 평가 도입K-ESG.. 2025. 7. 31.
ESG 공시 통합 시대, 기업이 반드시 갖춰야 할 내부 시스템 5가지 2025년 현재, ESG 공시는 단순 보고서 작성을 넘어 국제 기준에 따른 정량 정보 공개로 진화하고 있습니다.IFRS S2, TCFD, CDP, K-ESG 등 다양한 공시 기준이 정합성·신뢰성·연속성을 요구하면서, 이제는 기업 내부에 ESG 대응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수가 되었습니다.이 글에서는 ESG 공시 통합 시대에 기업이 반드시 갖춰야 할 5가지 핵심 내부 시스템을 정리합니다. 1. ESG 데이터 관리 시스템 (ESG Data Management Platform)Scope 1·2·3 배출량, 에너지 사용, 수자원, 폐기물 등 환경 데이터를 정량 수집Excel 기반 수작업은 오류·신뢰도 이슈 발생 → 자동화 플랫폼 도입 권장국제 표준(GHG Protocol, ISO 14064 등)과 호환 가능한 .. 2025. 7. 30.
K-ESG 가이드라인 2025 완전 정리: 한국형 ESG 공시 전략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기업의 ESG 경영 도입을 지원하고, 공급망 ESG 평가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K-ESG 가이드라인”을 2021년부터 발표하고 있으며, 2025년 개정판은 기업의 실제 ESG 공시 수요와 국제 기준(IFRS, TCFD 등)을 반영해 더욱 정교해졌습니다.이 글에서는 2025년 최신 K-ESG 가이드라인의 구조와 항목별 설명, 실무 적용 방법 및 자가진단 대응 전략까지 종합적으로 안내합니다. 1. K-ESG 가이드라인이란?산업부가 제정한 자율형 ESG 공시 가이드라인2025년 기준 63개 항목으로 구성 (기본형 + 확장형)국제 기준(GRI, TCFD, SASB 등)과 연계성 강화대기업은 공급망 평가 기준으로, 중견·중소기업은 ESG 입문용으로 활용공식 사이트: htt.. 2025. 7. 30.
ESG 보고서 외부 검증(Assurance)의 중요성과 준비 방법 ESG 보고서(지속가능성 보고서)는 이제 기업의 이미지 관리 수단이 아니라, 투자자, 이해관계자, 공급망이 신뢰할 수 있는 정보 공개 문서로 기능해야 합니다. 이러한 ESG 정보의 신뢰성과 투명성 확보 수단으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이 바로 ‘외부 검증(Assurance)’입니다.2025년 현재, 글로벌 ESG 공시 기준은 대부분 외부 검증을 요구하고 있으며, 공시된 탄소배출량, ESG 정책, 감축 목표 등에 대한 제삼자 보증 여부가 기업 신뢰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1. ESG 외부 검증이란?외부 검증은 독립된 제3의 기관(회계법인, 검증기관 등)이 기업의 ESG 보고서 또는 특정 지표에 대해 정확성·완전성·정합성을 검토하고, 이를 근거로 검증 보고서(Assurance Statement)를 발.. 2025. 7. 29.
IFRS S2 공시 기준 완전 해설: 기후공시 통합 시대의 대응 전략 2025년부터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가 제정한 IFRS S2 기준이 전 세계적으로 기후 관련 공시의 통합 기준으로 적용되기 시작했습니다.이는 기존의 TCFD, SASB, CDP 등 다양한 공시 기준을 하나로 통합하여, 기업의 기후위험 대응 능력과 전략의 공시 품질을 국제적으로 표준화하려는 시도입니다.이 글에서는 IFRS S2의 구조와 주요 공시 항목, 그리고 기업이 이 기준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구체적으로 안내합니다. 1. IFRS S2란 무엇인가?국제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서(ISSB Standards) 중 기후 관련 기준IFRS S1: 전반적인 지속가능성 공시 프레임워크IFRS S2: 기후 관련 공시(기후 리스크, 기후 기회, 감축전략 등)2025년 현재, 유럽(EU), 일본, 캐나다, 싱가.. 2025. 7.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