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0

RE100이란? 기업의 100% 재생에너지 전환 전략 지속가능성과 탄소중립이 글로벌 경영의 핵심 이슈로 떠오르면서, 전 세계 수백 개의 글로벌 기업들이 RE100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습니다.RE100(Renewable Energy 100%)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글로벌 이니셔티브로, ESG 경영 및 탄소중립(Net Zero) 전략의 핵심 축입니다.이 글에서는 RE100의 개념, 가입 조건, 실현 전략, 그리고 기업에게 주는 영향까지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설명합니다. 1. RE100이란 무엇인가?RE100은 ‘Renewable Electricity 100%’의 줄임말로,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전량을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겠다는 약속을 의미합니다.2014년 The Climate Group과 CDP 주도로 설립가입.. 2025. 7. 21.
TCFD와 CDP: 기업의 기후 정보 공개 기준 완전 해설 기후위기에 대한 책임과 대응은 이제 기업의 선택이 아닌 의무가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전 세계 투자자, 규제기관은 기업에게 기후 관련 정보 공개를 요구하고 있으며, 그 기준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두 가지 프레임워크가 바로 TCFD(Task Force on Climate-related Financial Disclosures)와 CDP(Carbon Disclosure Project)입니다.이 글에서는 TCFD와 CDP의 목적, 구조, 차이점과 기업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비교·정리합니다. 1. TCFD란?TCFD는 2015년 G20 금융안정위원회(FSB)에 의해 설립된 기후 재무공시 작업반(Task Force)입니다. 그 목적은 기업이 기후 관련 재무 리스크를 공시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 2025. 7. 20.
Scope 1, 2, 3이란? 기업 탄소배출 관리의 기본 탄소중립(Net Zero)과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이 기업 생존의 핵심 전략으로 떠오르면서, ‘Scope 1, 2, 3’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합니다.이 개념은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을 출처와 책임 범위에 따라 구분하기 위해 GHG Protocol(온실가스 프로토콜)에 의해 정의된 분류 방식입니다.이 글에서는 Scope 1, 2, 3이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지, 왜 중요한지, 기업은 이를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알아봅니다. 1. Scope 1, 2, 3 개념 요약스코프정의예시Scope 1기업이 직접 배출한 온실가스보일러, 발전기, 차량 연료 사용 등Scope 2전기·열·증기 사용으로 발생한 간접 배출외부 전력회사로부터 구매한 전력 사용Scope .. 2025. 7. 20.
탄소배출권(Emission Trading) 시장과 기업의 기회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강력한 경제적 수단 중 하나가 바로 탄소배출권(Emission Trading Scheme, ETS)입니다.탄소배출권은 온실가스 배출에 가격을 부여함으로써 기업이 탄소 감축을 의무적으로 이행하고, 동시에 효율적인 배출량 관리와 수익 창출 기회를 얻을 수 있게 해주는 시장 메커니즘입니다. 1. 탄소배출권이란?탄소배출권은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 총량을 정해 그 범위 내에서 거래하거나 절감하게 만드는 제도입니다.기본 개념:정부가 기업에 배출 허용량(Allowance)을 할당초과 배출 시 배출권을 시장에서 구매감축 성공 시 잉여 배출권을 판매하거나 이월 가능즉, 탄소를 줄이면 이익, 늘리면 비용이 발생하는 구조입니다. 2. 탄소배출권 시장의 종류① 의무시장 .. 2025. 7. 19.
탄소중립과 ESG: 기업이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방식 기후위기가 전 세계 경제, 산업, 소비 패턴까지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는 가운데, 기업은 더 이상 단순히 수익만 추구하는 존재가 아닙니다.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아우르는 ‘ESG 경영’은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생존을 결정짓는 핵심 전략으로 자리 잡았습니다.그중에서도 ‘탄소중립(Net Zero)’은 ESG 중 E(Environment)의 핵심 요소로, 글로벌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주요 목표입니다. 1. 탄소중립이란 무엇인가?탄소중립은 기업이나 국가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CO₂)를 포함한 온실가스 총량을 ‘0’으로 맞추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단순히 배출을 멈추는 것이 아니라, 감축 + 흡수 + 상쇄 전략을 모두 활용해 실질적인 넷제로.. 2025. 7. 19.
2050년까지 넷제로(Net-Zero)를 달성하지 못하면 일어날 일들 전 세계는 현재 2050년까지 넷제로(Net-Zero), 즉 인류가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양을 흡수 또는 제거하는 양과 같게 만드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 2024년 기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여전히 증가세이며, 넷제로 달성까지 남은 시간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넷제로 달성 실패 시, 즉 2050년 이후에도 온실가스를 계속 배출하게 될 경우 어떤 변화가 현실로 닥칠지 구체적으로 살펴봅니다. 1. 왜 2050년인가?IPCC AR6 보고서에 따르면,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폭을 1.5℃ 이내로 제한하려면, 2050년까지 전 세계 온실가스 순배출을 ‘0’으로 만들어야 합니다.이를 달성하지 못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1.5.. 2025. 7. 19.